재테크 포트폴리오는 투자 위험을 줄이고 수익을 늘리기 위해 여러가지 상품을 기간별, 지역별로 분산해 투자하기 위해 만들어요. 20대 재테크 시작하려는 사람에게 도움 될, 투자와 저축 비율 정하는 한 가지 원칙을 소개해드릴게요.
‘100 – 나이’ 원칙
나이만큼 안전한 저축을 하고, ‘100-나이’만큼은 위험하지만 더 큰 수익을 올릴 수 있는 상품에 투자를 하는 방법이에요.
저축은 예적금 등 원금보장이 되는 안전한 상품에 하고, 투자는 주식이나 채권, 또는 이들을 묶어 판매하는 펀드, 파생상품을 선택할 수 있어요.
예를 들어, 30세의 사회초년생 A씨가 월급 200만원 중 재테크 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금이 100만원 정도라고 할 때, 30%인 30만원은 예적금으로, 70%인 70만원은 주식, 펀드, ELS 등 투자 상품으로 도전해볼 수 있을 거예요.
반대로 1억원의 자산을 가진 65세 은퇴자 B씨의 경우 65%인 6500만원은 저축 자산, 35%인 3,500만원은 투자 자산으로 분류할 수 있겠죠.
비교적 위험을 견딜 수 있는 젊은 나이에는 투자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짜고, 곧 은퇴를 대비해야 하는 나이에는 안전한 저축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짤 수도 있어요.
1. 저축 자산을 나누는 방법
저축에 배정된 돈은 기간에 따라 나눌 수 있어요.
- 초단기에 사용할 목적으로 절반으로 배정하고, 비상금 통장으로 활용할 수 있어요.
- 남은 돈은 너무 길지 않은 만기(1~3년)의 적금 상품을 활용하는 걸 추천해요.
2. 투자 자산을 나누는 방법
투자에 배정된 돈도 기간에 따라 나눌 수 있어요.
- 3~5년의 중기 목표를 위한 투자(50%): 이 돈은 적립식 펀드에 넣어두기에 적당해요. 기대수익률의 변동성이 1~2년 펀드보다 적고, 정액분할투자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에요.
- 10년 이상의 장기 목표를 위한 투자(50%): 긴기간 유지할수록 혜택이 커지는 ‘복리 효과’를 가지는 상품에 투자해보는 게 좋아요. 보험회사의 10년 이상 유지 가능한 장기 저축성보험 등을 눈여겨 보는 것을 추천하며, 이는 10년 후 활용할 수 있는 목돈을 마련하는 토대가 될 거예요.